맨위로가기

소의 유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의 유씨는 조선 숙종의 후궁으로, 정2품 소의에 이르렀다. 1698년 숙원에 책봉되었으며, 1702년 소의로 진봉되었다. 1707년에 사망하여 서삼릉 후궁 묘역에 묘소가 있으며, 숙종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사후 삼각산 북쪽 산기슭을 개인 시장으로 절수받은 행위로 탄핵을 받았으며, 정조 때 왕실 사치 폐단 근절 정책에 따라 전답과 노비가 국고로 회수되고 신주는 수진궁으로 옮겨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07년 사망 - 세바스티앙 르 프레스트르 드 보방
    세바스티앙 르 프레스트르 드 보방은 루이 14세 시대 프랑스의 군사이자 기술자로서 요새 건축과 공성전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도시 계획 및 행정 개혁에도 참여하여 프랑스 사회 발전에 기여했고, 그가 건설한 요새 중 12곳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1707년 사망 - 루트비히 빌헬름 폰 바덴바덴 변경백
    루트비히 빌헬름 폰 바덴바덴 변경백은 "투르크인 루트비히" 또는 "제국의 방패"라고도 불린 신성 로마 제국의 장군이자 바덴-바덴 변경백으로, 오이겐 폰 사보이엔과 함께 오스만 제국의 침략으로부터 유럽을 방어하는 데 기여했으며 대터키 전쟁과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활약했고 슬란카멘 전투에서 승리했다.
  • 강릉 유씨 - 유옥우
    유옥우는 자유당에서 정계 입문 후 야당에서 활동하며 여러 차례 국회의원을 지냈고, 한일협정 반대 운동 중 옥고를 치렀으며 정치 테러를 당하기도 했으나, 국가보위입법회의 참여 경력으로 비판받기도 한 정치인이다.
  • 강릉 유씨 - 유지태
    유지태는 1998년 영화 《바이 준》으로 데뷔하여 《올드보이》 등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인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마이 라띠마》를 연출한 영화 감독으로, 배우 김효진과 결혼하여 사회 활동과 자선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조선 숙종 - 경신환국
    경신환국은 1680년 숙종 때 서인이 유악 사건과 삼복의 변을 계기로 남인을 몰아내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으로, 서인이 요직을 차지하며 조선 정계가 서인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 조선 숙종 - 심재
    심재는 조선 중기 문신으로, 좌의정 심희수의 후손이며, 문과 급제 후 여러 요직을 거쳐 경기도 관찰사, 이조판서, 대사헌 등을 역임했으나 갑술환국으로 관작이 추탈되었다.
소의 유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소의 유씨
작위후궁 (소의)
별칭숙원 유씨
숙의 유씨
배우자숙종
자녀없음
왕조조선
아버지미상
어머니미상
출생일미상
출생지조선
사망지조선
사망일1707년 음력 4월 8일
매장지서삼릉 경내 소의유씨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국적조선

2. 생애

본관강릉, 이다[2]. 조선 숙종의 후궁이며, 소의(정2품)였다.

1698년(숙종 24년) 종4품 숙원으로 책봉되었고, 1699년(숙종 25년) 단종 복위를 맞아 종2품 숙의로 진봉되었다.[5] 1702년(숙종 28년) 인원왕후 책봉을 기념하여 정2품 소의로 다시 진봉되었다.[7] 1707년(숙종 33년) 사망하여 의빈부 3등의 예로 장례가 치러졌다.[8][9]

숙종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2] 제사를 모실 자녀와 가까운 친속이 없어, 생전에 숙종에게 받은 사제에 신주를 모시고 환관과 궁녀의 봉공을 받았다. 그러나 정조 즉위 후 왕실의 사치와 폐단을 근절하는 정책에 따라 전답과 노비 등이 국고로 회수되면서 신주도 수진궁으로 옮겨졌다.[11]

현재 묘소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서삼릉(西三陵) 경내 후궁 묘역에 있다. 묘표는 1767년(영조 43년)에 세워졌다. 원래 묘소는 경기도 양주에 있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왕자, 왕녀, 후궁의 무덤을 한 곳으로 옮기면서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다. 1970년 5월 26일 서삼릉이 사적 제200호로 지정될 때 후궁묘도 함께 지정되었다.

2. 1. 책봉과 논란

1698년(숙종 24년) 음력 8월 2일 궁인으로 있다가 종4품 숙원으로 책봉되었다. 당시 유씨를 후궁에 책봉하면서 그 땅과 집을 마련하기 위해 6000냥과 콩 100석 등 막대한 재물이 소요되었는데, 《조선왕조실록》의 사관은 당시 국고가 거덜나고 백성들의 생활이 곤궁함에도 후궁의 책봉에 이처럼 돈을 쓰는 것에 대해 식자들이 한탄하고 근심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3]. 1699년(숙종 25년) 숙안공주가 숙종에게 절수받은 전장의 백성들에게서 마구잡이로 혹독한 세금을 거두는 것에 대한 비판이 이어질 때 그녀도 함께 언급되었지만 숙종의 비호를 받았다.[4]

2. 2. 진봉과 사망

1699년(숙종 25년) 단종 복위를 맞아 종2품 숙의로 진봉되었다.[5] 1702년(숙종 28년) 인원왕후 책봉을 기념하여 정2품 소의로 진봉되었다.[7] 1707년(숙종 33년) 음력 4월 8일 사망하여[1] 음력 6월 10일 장사지냈다. 내명부 정2품 소의였지만 숙종의 의지로 의빈부 3등의 예로 장례가 치러졌다.[8][9]

2. 3. 사후 논란

1707년(숙종) 유씨가 사망한 직후, 가뭄 때 제사를 올리는 성역인 삼각산 북쪽 산기슭을 개인 시장市場|시장중국어으로 절수(임금이 공신이나 왕족에게 내려 영구히 차지하여 이용하게 하던 토지)받아 나무를 베어온 행태가 드러나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다[13].

정조 즉위 직후, 왕실의 사치와 폐단을 근절하는 정책의 일환으로 이미 사망한 선왕의 공주와 후궁들에게 속해 있던 토지와 노비 등이 국고로 회수되었는데, 이때 유씨의 신주도 수진궁으로 옮겨졌다[11].

3. 묘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서삼릉 경내 후궁 묘역에 있으며, 1767년(영조 43년) 묘표가 세워졌다.[2] 원래 경기도 양주에 있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영토 개발을 이유로 왕자, 왕녀, 후궁의 무덤을 한 곳으로 옮기면서 이장되었다. 1970년 5월 26일 서삼릉이 사적 제200호로 지정될 때 후궁묘도 함께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4. 가족 관계


  • 남편 : 제19대 숙종 (1661~1720, 재위: 1674~1720)

5. 기타

일부 자료에 유씨가 1688년(숙종 14년)에 죽었다는 기록이 있으나[2], 유씨가 후궁에 책봉된 것이 1698년(숙종 24년)이고 이후 행적이 뚜렷한데다가, 1707년의 《승정원일기》에 소의 유씨에 대한 장례를 논하는 기록이 남아있으므로 1688년에 사망했다는 기록은 오류이다.

참조

[1] 서적 승정원일기 1707
[2] 웹사이트 두산백과 〈소의유씨묘〉 https://terms.naver.[...]
[3]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 숙종 32권, 24년(1698 무인 / 청 강희 37년) 8월 2일(계묘) 2번째기사
[4]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 숙종 33권, 25년(1699 기묘 / 청 강희 38년) 3월 16일(을유) 4번째기사
[5]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 숙종 33권, 25년(1699 기묘 / 청 강희 38년) 10월 23일(정해) 2번째기사
[6] 문서 내명부의 새로운 수장인 계비가 등극하면 내명부 정1품 빈(嬪)을 제외한 모든 후궁을 한 계급 승급시킨다
[7]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 숙종 37권, 28년(1702 임오 / 청 강희 41년) 10월 18일(을미) 1번째기사
[8] 문서 국장 다음 격의 장례로 세자빈과 왕자·왕녀의 장례이자 [[종친부]]·의빈부의 종2품 이상, 내명부·[[외명부]]·문무관 중 종1품 이상, 공신에게만 허가된 장례이다. 정2품인 소의 유씨는 예장 대상이 아니었는데 숙종의 특명 아래 의빈부 3등의 예로 예장된 것이다.
[9] 서적 승정원일기 1707
[10] 문서 후사를 보지 못한 왕자·공주·후궁의 제사를 받드는 곳
[11]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 정조 1권, 즉위년(1776 병신 / 청 건륭 41년) 4월 10일(신해) 6번째기사
[12] 문서 柴塲. 장작을 공수하는 곳
[13] 서적 승정원일기 1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